중국 남부를 강타한 이례적인 홍수는 일본 남쪽까지 뻗어 있는 얇고 긴 구름대가 원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차고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과 따뜻하고 습한 해양성 고기압 사이에서 비구름이 만들어졌고, 점차 강하게 발달한 비구름이 중국 남부에 폭우를 쏟아부으며 '100년 만의 홍수'가 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가뭄이었던 중국 남부를 강타한 이 구름대가 서서히 우리나라를 향해 움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름철이 다가오면서 북태평양고기압이 세력을 키우면 장마전선으로 전국에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올여름 국내 장마가 예년과 같은 6월 하순에 시작되겠지만, 강수량은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기온이 1℃ 증가할수록 수증기량도 약 7%가량 증가합니다. 현재 전 지구적으로 기온이 가장 높은 상태인데, 기온이 높아진 만큼 올여름 강수량도 기록적으로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] <br /> <br />세계기상기구, WMO도 지난해 아시아 지역의 기후 현황을 분석한 결과, 아시아의 홍수 취약성이 여전히 높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아시아 근처인 북태평양 서부와 남중국해에서는 17개의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, 일본, 필리핀 등에 기록적인 폭우를 쏟아부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여름 인도와 파키스탄, 네팔에서는 홍수와 폭풍으로 6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원길 / 기상청 통보관 : 지난해 아시아의 수문기상학적 위험 중 80% 이상이 홍수와 폭풍이었습니다. 특히 주요 사망 원인은 홍수로, 아시아가 홍수에 대해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] <br /> <br />온난화의 영향으로 올여름 폭염이 우려되는 가운데, 중국 남부의 홍수가 언제든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재연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장마철을 앞둔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ㅣ이영훈 <br />디자인ㅣ김효진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42407050877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